왜 깎이나요? 기초연금 감액 기준 총정리

기초연금은 국민연금 등 공적 연금 수령액이 많을수록 감액될 수 있습니다. 그 기준이 되는 것이 바로 소득인정액입니다.

2025년 기준으로 단독가구의 소득인정액이 월 202만 원 이상이면 기초연금을 받을 수 없고, 월 180만 원 이상부터는 감액이 시작됩니다. 국민연금 수령액이 많으면 이 기준을 초과하게 되죠.

  • 예) A씨(65세, 1인 가구)는 국민연금으로 월 110만 원 수령 중인데, 본인 명의 적금 이자소득 등 포함 총 소득인정액이 월 195만 원으로 계산되어 감액 대상이 되었습니다.

1. 국민연금 수령액 줄이지 않는 3가지 대응법

1. 퇴직·사업소득 조정

  • 퇴직금이나 일시적 사업소득은 연금 수급 개시 시점을 피해서 1~2년 전에 분산 수령하거나, 최소화 조정하는 방식으로 감액을 피할 수 있습니다.

2. 부양가족 수 조정

  • 부양하고 있는 고령 부모, 장애 자녀 등이 있다면 건강보험 피부양자로 등록하거나, 세대 분리 등을 통해 소득평가 시 인정을 유리하게 할 수 있습니다.

3. 임의가입 기간 조정

  • 국민연금은 조기 수령(60세) 또는 연기 수령(최대 5년) 선택이 가능합니다. 이를 통해 전체 수급액과 기초연금 수급 가능성의 균형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2. 감액 피해가 가지 않는 실전 꿀팁

  • 소득이 몰리는 특정 시기에는 감액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소득인정액 산정 기준일 이전에 전략적 조정을 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가족 간 자산 이전은 증여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재산 변동으로 소득평가액이 더 늘어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부채 신고를 통해 금융재산의 소득환산액을 낮추는 전략도 유효합니다. 예) 전세보증금 담보 대출 신고 등.

3. 수급 시뮬레이션 도구 안내

기초연금과 국민연금 감액 여부는 사전에 시뮬레이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 이름, 출생연도, 가입기간 등 입력
  • 예상 수급 시점 선택
  • 소득 인정액 확인
국민연금 모의 계산
국민연금 모의 계산

기초연금 모의계산
기초연금 모의계산

4. 수급 전략은 ‘타이밍’과 ‘정보’

기초연금 감액은 단순히 소득이 많다는 이유만으로 발생하지 않습니다. 정확한 기준과 전략을 알면 얼마든지 피해갈 수 있습니다.

수급 6개월 전부터 전략적으로 준비한다면, 연간 수십만 원, 수년간 수백만 원을 지킬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준비하세요!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