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서울 청년월세지원 탈락자 이의신청 가이드|탈락 사유별 소명 전략 Q&A 총정리

2025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신청에서 탈락하셨나요? 

단순 실수나 서류 누락, 오해로 인한 탈락도 많습니다. 

아래 Q&A를 통해 사유별 이의신청 방법과 보완 전략을 확인해 보세요.

Q1. 자격요건 미충족으로 탈락했어요. 이의신청 가능할까요?

네, 기준에 오해가 있었던 경우 소명자료를 제출해 이의신청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보증금 환산이 잘못 계산된 경우, 계약서와 함께 정확한 계산표를 제출하면 재심사될 수 있습니다.

  • 주요 탈락 사유 : 소득 초과, 재산 초과, 보증금 환산액 기준 초과 등
  • 보증금 환산 계산식 : (보증금 × 5%) ÷ 12 + 월세 <= 93만 원
  • 실수 예시 : 소수점 절사 없이 반올림하거나, 계약서 상 보증금 / 월세 불일치

Q2. 임대차계약서에 도장이 없거나 주소가 틀렸어요. 탈락인가요?

정확하지 않은 계약서로 탈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도장 누락이나 주소 오류 등은 수정 계약서를 재발급 받아 제출하면 이의신청이 가능합니다.

  • 해결 방법 : 공인중개사를 통해 정정 계약서 또는 확정일자 계약서 재발급
  • 자주 틀리는 항목 : 실거주지 주소 오기, 단위호수 누락 등

Q3. 월세 이체가 부모님 계좌로 되어 있어요. 탈락인가요?

이체자가 부모님 명의여도, 실거주 증빙이 명확하다면 인정됩니다. 

단, 이체 내역과 가족관계증명서를 함께 제출해 관계를 증명해야 합니다.

  • 필수 제출서류 : 월세 이체 내역 캡처본, 가족관계증명서
  • 보완 팁 : 월세 목적 명시된 계좌 메모 또는 문자 증빙 함께 제출

Q4. 고시원이나 셰어하우스에 살아서 계약서가 없어요. 어떡하죠?

이 경우에는 입실 확인서나 실거주 증명서류를 대체로 제출하면 됩니다. 

서류에는 성명, 거주지 주소, 월세 금액, 입실 기간, 사업자등록번호, 대표자 도장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 보완 서류 예시 : 입실 확인서 + 사업자등록증 사본
  • 이의신청 팁 : 현장 사진, 지로 영수증 등 추가 증빙이 도움됩니다

Q5. 공공임대에 거주 중이거나 주거급여 수령 중이라 탈락했어요.

해당 사업은 중복수혜가 불가능하므로, 이미 공공임대 계약 중이거나 주거급여를 받는 경우는 원칙상 탈락입니다. 

단, 공공임대 해지나 주거급여 환수 등 이력이 있는 경우, 관련 해지 증빙서류를 제출하면 소명이 가능합니다.

  • 소명 예시 : 주거급여 중단 확인서, 공공임대 해지확인서
  • 주의사항 : 현재 주거급여 수급 여부는 행정정보 공동이용망을 통해 자동 확인됨

Q6. 시스템 오류나 착오로 탈락했다고 생각됩니다.

공식 문의 채널을 통해 상담 후, 시스템 오류임을 입증할 자료(예: 신청 화면 캡처, 처리내역 등)를 준비해 이의신청하면 됩니다. 실제로 단순 입력 오류나 정보 누락 등으로 탈락된 사례가 다수 확인되고 있습니다.

  • 보완자료 예시 : 신청 완료 캡처본, 문자 알림 이력 등
  • TIP : SH 홈페이지 [마이페이지] 내 이력 조회 기능도 활용해 보세요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