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김해·익산·제주, 어디가 유리할까?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전국 공통 조건을 따르지만, 실제 신청 환경은 지역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같은 조건이라도 서울처럼 정보 접근성과 시스템이 잘 갖춰진 곳은 경쟁률이 높고, 김해·익산·제주처럼 홍보가 부족한 지역은 수혜 가능성이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서울, 하남, 김해, 익산, 제주 등 주요 지역의 실제 신청 환경을 비교해, 어떤 지역에 거주 중일 때 더 유리한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
서울특별시
- 연령 : 만 15~39세(차상위 이하), 만 19~34세(차상위 초과)
- 소득 : 차상위 이하는 월 10만 원 이상, 차상위 초과는 월 50만 원 초과~250만 원 이하
- 지원금 : 차상위 이하는 월 30만 원, 차상위 초과는 월 10만 원을 정부에서 추가 적립
- 복지로를 통한 온라인 신청 비중이 높고, 행정 시스템이 체계적으로 운영되고 있어 신청 과정이 비교적 원활합니다.
- 신청자가 많아 경쟁률이 높을 수 있으나, 시스템 정비와 정보 접근성이 뛰어난 편입니다.
경기도 하남시
- 연령 : 만 15~39세(차상위 이하), 만 19~34세(차상위 초과)
- 소득 : 차상위 이하는 월 10만 원 이상, 차상위 초과는 월 50만 원 초과~250만 원 이하
- 지원금 : 차상위 이하는 월 30만 원, 차상위 초과는 월 10만 원 추가 적립
- 청년정책과, 일자리센터, 청년카페 등과의 연계가 활발하며, 지자체 차원의 안내 및 홍보도 적극적입니다.
-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에서 접근성과 지원 체계가 잘 갖춰져 있어 신청자 편의성이 높은 지역입니다.
경상남도 김해시
- 연령 : 만 15~39세(차상위 이하), 만 19~34세(차상위 초과)
- 소득 : 차상위 이하는 월 10만 원 이상, 차상위 초과는 월 50만 원 초과~250만 원 이하
- 지원금 : 차상위 이하는 월 30만 원, 차상위 초과는 월 10만 원 추가 적립
-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중심으로 접수가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온라인 신청보다 오프라인 접근이 더 활발합니다.
- 신청률은 상대적으로 낮고, 모집 인원과 예산 정보를 적극 공지하는 편입니다.
전라북도 익산시
- 연령 : 만 15~39세(차상위 이하), 만 19~34세(차상위 초과)
- 소득 : 차상위 이하는 월 10만 원 이상, 차상위 초과는 월 50만 원 초과~250만 원 이하
- 지원금 : 차상위 이하는 월 30만 원, 차상위 초과는 월 10만 원 추가 적립
- 자활센터와 연계한 상담을 유도하며, 사전상담 후 신청하는 방식이 활용되기도 합니다.
- 지역 홍보가 부족해 신청률이 낮은 편이나, 경쟁률도 낮아 수혜 가능성은 높은 지역입니다.
제주특별자치도
- 연령 : 만 15~39세(차상위 이하), 만 19~34세(차상위 초과)
- 소득 : 차상위 이하는 월 10만 원 이상, 차상위 초과는 월 50만 원 초과~250만 원 이하
- 지원금 : 차상위 이하는 월 30만 원, 차상위 초과는 월 10만 원 추가 적립
- 온라인 신청도 가능하지만, 제주도는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안내가 병행되는 경우가 많으며, 만기 수령 시 지역 행정절차가 별도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 - 정보 접근성이 낮고 홍보가 부족해 신청률은 낮지만, 상대적으로 수혜 가능성이 높습니다.
지역별 실질 차이 요약
왜 복지로에서 신청해도 지역 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요?
신청 자체는 복지로를 통해 전국 공통으로 이루어지지만, 신청자의 주민등록상 주소지에 따라 관할 지자체로 자동 분배됩니다.
이후에는 해당 지역 행정복지센터나 복지 부서에서 직접 선정과 관리를 담당하며, 지역별로 상이한 서류 안내, 홍보 강도, 예산 배정, 연계 사업 참여 기회 등이 자연스럽게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제주도에 거주하는 청년이 복지로에서 신청하면 시스템상 자동으로 제주도 관할로 접수되어 제주도만의 행정 절차와 자활센터 연계, 접수 방식이 그대로 적용됩니다.
서울·하남처럼 시스템이 잘 갖춰진 도시는 정보 접근은 쉽지만 경쟁률이 높고, 김해·익산·제주처럼 홍보가 적은 지역은 경쟁률은 낮지만 신청자가 적어 상대적으로 수혜 가능성이 큽니다.
※ 신청은 복지로에서 가능하지만, 실제 접수 및 관리는 신청 당시 주소지 기준으로 해당 지자체가 담당합니다. 주소지를 변경하지 않으면 다른 지역 기준으로 신청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