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든든주택 전세임대 실질 부담금은?

LH에서 전세금의 80%를 지원해주지만, 실제로 내가 매달 내야 할 돈은 얼마일까요? 단순히 전세금만 보고 판단하면 손해 볼 수 있습니다.

보증금 자부담 + 이자 + 월세 구조까지 포함된 실질 부담을 아래에서 정확하게 확인하세요.

 전세보증금 기준 기본 구조

  • 지원한도 내 전세보증금 : 수도권 2억 / 광역시 1.2억 / 기타 9천만 원
  • 입주자 부담금 : 전세금의 20%
  • LH 지원금에 대한 연이자 1~2% → 월 임대료로 납부

실질 부담금 예시 계산

📍 예시 1. 수도권 전세 2억 주택

  • 본인 부담: 4,000만 원
  • LH 지원: 1억 6,000만 원
  • 월 임대료: [(2억 - 4,000만) × 2% ÷ 12] = 26.6만 원

📍 예시 2. 광역시 전세 1.2억 주택

  • 본인 부담: 2,400만 원
  • 월 임대료: 약 16만 원

📍 예시 3. 기타지역 전세 9천만 원 주택

  • 본인 부담: 1,800만 원
  • 월 임대료: 약 11만 원

우대금리 적용 시 얼마나 줄어드나?

  • 미성년 자녀 수에 따라 최대 0.5%P 인하
  • 최저금리는 1.0% 적용
  • 생계·의료급여 수급자도 0.2%P 인하

예: 자녀 3명 가구 → 월 임대료 약 20만 원 이하 가능

보증부월세의 경우 계산 방식

  • 보증부월세 주택도 전세로 전환 가능
  • 입주자가 3개월치 월세만 선납하면 LH가 나머지 9개월분을 보증
  • 해당 금액을 보증금으로 간주하여 부담금·이자 재계산

든든주택은 소득·자산 기준 없이 신청할 수 있지만, 실질 부담금 구조를 모르고 선택하면 후회할 수 있습니다.

지금 전세금 규모와 가족 구성에 따라 부담금 계산을 꼭 해 보세요.

📎 LH청약플러스 바로가기
다음 이전